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 목포시, 전라남도

주소: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 달동 230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전화번호: 615505606.
웹사이트: heritage.go.kr
전문 분야: 역사적 장소, 관광 명소.
기타 관심사항: 휠체어 이용 가능 출입구,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어린이에게 적합함.
리뷰: 이 회사는 Google My Business에서 259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 의견: 4/5.

📌 의 위치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 달동 230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 운영 시간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 월요일: 24시간 영업
  • 화요일: 24시간 영업
  • 수요일: 24시간 영업
  • 목요일: 24시간 영업
  • 금요일: 24시간 영업
  • 토요일: 24시간 영업
  • 일요일: 24시간 영업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소개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 달동 230에 위치한 역사적 장소로, 조선시대 이순신장군과 관련된 유적지입니다. 이 유적지는 정유재란 당시 이순신장군이 수군의 재정비를 위해 106일을 머무른 곳으로, 노량해전에서의 승리의 원동력과 임진왜란 종식에 큰 역할을 한 곳입니다.

유적지는 노적봉이 가까운 위치에 있어 주변 노송 나무들이 고즈넉하게 보호해주고 있습니다. 유적지 입장료는 없으며, 기념비를 보호하는 전각 주변에는 소나무 숲이 우거져 있어 산책하기에 좋습니다. 해송의 장엄함과 아름다운 바다 풍경을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지에서 용머리까지 해안데크를 이용하면 8키로 정도를 누비며 즐길 수 있습니다. 유적지를 방문하실 때는 주의해야 할 점이 몇 가지 있습니다. 유적지 입구에서부터 가는 길이 공사 중이어서 다소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만, 현재 포장 공사가 진행 중이라 향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유적지 관리가 조금 부족해지는 점도 참고해 주세요.

이 외에도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지는 휠체어 이용 가능한 출입구와 주차장이 있어 장애인 FRIENDLY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어린이에게도 적합한 유적지라 가족단위로 방문하시면 좋을 것입니다.

리뷰를 살펴보면 이 유적지는 Google My Business에서 259명의 이용자로부터 4.5점의 평균 점수를 받았습니다. 이용자들은 이곳의 역사적 가치와 아름다운 자연이 잘 어울려 방문하기에 좋은 장소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총평으로는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지는 이순신장군과 관련된 충격적인 역사와 아름다운 경치를 경험할 수 있는 곳입니다. 가족단위로 방문해 이순신장군의 유거지를 따라 시간을 되돌아보세요.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주요 정보

  • 주소: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 달동 230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 전화번호: 615505606
  • 웹사이트: heritage.go.kr
  • 전문 분야: 역사적 장소, 관광 명소
  • 기타 관심사항: 휠체어 이용 가능 출입구,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어린이에게 적합함

👍 의 리뷰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 목포시, 전라남도
네잎크로버
4/5

고하도는 조선시대 정유재란때 이순신장군과 관련된 유적이다.고하도진성과 산성,선소터 등 일부만이 남아있고 .명량해전에서 승리후 수군의 재정비를 위해 이곳에 106일을 머물렀고 노량해전에서 승리의 원동력이 되었고 7년간의 임진왜란을 끝내는 밑거름이 되었다.
노적봉이 지척에 보이며 주변노송들이 고즈넉하게 지켜주고 있다.진입로.주차가 비포장이라 다소 아쉬웠는데 현재 포장공사중이다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 목포시, 전라남도
bomio K.
5/5

이순신 장군의 흔적이 있는 영험한 역사 유적지 입니다. 기념비를 보호하는 전각 주변으로는 소나무 숲이 우거져있습니다. 소나무 숲길을 따라 산책하면서 해송의 장엄함과 아름다운 바다 풍경을 같이 볼 수 있어요. 입장료는 없습니다.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 목포시, 전라남도
구자상
5/5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지부터 용머리 까지 해안데크로 갔다가 능선타고 오면 좋아요 8키로 가까이 나오네요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 목포시, 전라남도
김도연
3/5

고하도 옆이라 갔는데 가는길은 공사중이고
관리가 잘 되 있지는 않네요
근처갔다가 가면모를까 일부러가지는 않아도 될듯해요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 목포시, 전라남도
박우경
2/5

여름에 모르고 이정표만 보고 무작정 차를 타고 들어갔는데 차는 비추천입니다.좁은길에 또 그 곳엔 주차할 공간이 협소합니다.그때 좀 힘들어서 다음에 와야겠다하고 혼자서 마을입구에 주차한 뒤 걸어서 가는게 훨씬 더 편한것같습니다.지금은 공사를 하고 있어 통행하기 불편하지만 그래도 혼자니까.
주위가 바닷가쪽이고 간혹 위험한 곳도 있으니 아이들과 특히 다둥이 가족은 각별히 더 조심하셨으면 합니다.
그 곳에 500년된 소나무가 있다고 들었는데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겠지만 전 그 곳에서 자연의무서움을 봤습니다.나무들이 생명을 다하니 사람처럼 힘이 없어 쉽게 부러지나봅니다.
물론 이충무공유적지 안은 관리가 잘 되어 있지만 그 주위의 환경은 좀 더 시간이 필요하나봅니다.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 목포시, 전라남도
krb612 L.
5/5

2022년 남도에서 한 달 여행하기 목포편 09월 26일 이 곳을 방문했다.
조용한 곳에 있다.
나 역시 이순신장군의 직속 후손이다.

1974년 9월 24일에 전라남도기념물 제10호로 지정되었다. 진주정씨 종중의 소유로 되어 있으며, 목포시에서 관리한다. 전라남도 목포시 충무동에 있는데, 전체 면적은 66,545㎡에 이른다.

고하도는 목포 시내에서 2km 정도 떨어진 서남쪽의 작은 섬이다. 고하도라는 명칭은 《동국여지승람》에서 볼 수 있고, 《난중일기》에는 보화도라고 하였으며, 고하도 이충무공기념비(전라남도유형문화재 39)에는 고화도라 하였다.

명량대첩 후 고군산도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온 이순신 장군은 이듬해 고금도로 옮기기까지 여기에 머물렀다. 여기에서 이순신 장군은 남서쪽으로 길이 1km, 높이 2m, 폭 1m의 석성(石城)을 쌓았다. 적의 배를 구별하고 군자금을 모으기 위하여 오가는 배들에게 1∼3석의 식량을 내어 놓고 통행첩을 받아가도록 하는 제도를 운영하였다. 이로써 열흘만에 일만 석의 군량미를 비축하였으며, 병기(兵器)와 배도 만들어 전열을 가다듬었던 유적지이다.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 목포시, 전라남도
정성현
4/5

명량해전에서 승리한 이충무공이 이곳 고하도로 진을 치고 수군을 재정비하였다. 이곳에서 106일을 머문 후 통제영을 완도 옆의 고금도로 옮겼다.
이곳에 충무공 유적비가 있으며 사당 모충각이 있다.
주변에는 토종 노란색 민들레가 바람에 하늘거린다.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 목포시, 전라남도
동백
5/5

관리는 잘되어지고있는것같고 좋은데
변변한 주차장하나없이 비좁은길을지나서
들어갈수있었고 후진해서 나와야했던 ㅡ

Go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