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공단 - 사하구, 부산광역시

주소: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제1동 1222 윤공단.
전화번호: 512204082.
웹사이트: saha.go.kr
전문 분야: 역사적 명소, 관광 명소.
기타 관심사항: 휠체어 이용 가능 출입구,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리뷰: 이 회사는 Google My Business에서 36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 의견: 4.1/5.

📌 의 위치 윤공단

윤공단 (Yungongdan Altar)

윤공단은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제1동 1222번지에 위치한 역사적 명소로, 임진왜란 당시 순절한 다대첨사 윤흥신(尹興信)과 다른 여러 분들을 제향한 석단입니다.

주소와 연락처

주소: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제1동 1222 윤공단

전화번호: 512204082

website

saha.go.kr

특징

역사적 명소로 임진왜란 당시 순절한 다대첨사 윤흥신과 다른 여러 분들을 제향한 석단

커다란 소나무 숲으로 둘러쌓여 있어 아담하게 자리 잡고 있다

도로변에서 올라가는 계단은 조금 가파르며 벤치가 마련되어 있다

비석과 당집이 있지만 당집으로는 입구를 찾지 못할 수 있다

여행 advisement

우리 아이들을 손 잡고 꼭 한 번은 가보시길 추천합니다

이 고장의 역사인만큼 우리 후손들이 꼭 알아야 할 역사가 아닌가 싶습니다

휠체어 이용 가능한 입구와 휠체어 이용 가능한 주차장을 찾을 수 있으므로, 휠체어 사용자에게 особ히 추천합니다

리뷰와 평점

Google My Business에서 36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 의견은 4.1/5입니다

추가 정보

otros datos de interés: 기타 관심사항: 휠체어 이용 가능 출입구, 휠체어 이용 가능 주차장

제향한 석단은 역사적인 importance를 가지고 있어 꼭 알아야 할 역사가 아닌가 싶다.

recomendación final

윤공단은 부산광역시에서 방문해야 할 역사적 명소 중 하나입니다. 역사적인 importance와 아름다운 환경을 제공하며, 우리 아이들을 손 잡고 꼭 한 번은 가보시길 추천합니다. 더 많은 information을 얻으려면 saha.go.kr을 방문하여ください.

👍 의 리뷰 윤공단

윤공단 - 사하구, 부산광역시
김화련(네잎클로버사랑)
5/5

몰운대 공원안에 있는 정운공 순의비처럼 임진왜란 당시 다대포를 지키다 순직하신 윤흥신 공과 그 주변분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준비된 역사의 한 장입니다ㆍ
유아교육진흥원맞은편 대로로변에서 계단을 올라가는 방법도 있고 푸르지오 정문 옆으로 돌아 식물원 맞은편으로 바로 들어가는 방법이 있습니다ㆍ
몰운대 정운공 순의비와는 달리 윤공단은 커다란 소나무 숲으로 늷게 둘러쌓인 가운데 아담하게 자리잡아 있었습니다ㆍ
도로변에서 올라가는 계단은 조금 가파른 편이라서 중간중간에 벤치가 마련되어 있습니다ㆍ
비석군들도 있고 당집도 있으나 당집으로는 입구를 찾지못하여 가지 못했습니다ㆍ
이 고장의 역사인만큼 우리 후손들이 꼭 알아야 할 역사가 아닌가 싶습니다ㆍ
우리 아이들 손잡고 꼭 한 번은 가보시길 추천 드립니다ㆍ

윤공단 - 사하구, 부산광역시
준June
5/5

윤공단 尹公壇 Yungongdan Altar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9호.
釜山广域市 纪念物 第9号。
Busan's momument no.9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임진왜란 때 순절한 다대첨사 윤흥신(尹興信)을 비롯한 여러 분을 제향한 석단.

윤공단 - 사하구, 부산광역시
Yukyong C.
5/5

윤흥신(尹興信, 1540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파평이다. 중종의 제1계비 장경왕후의 조카이고, 대윤 윤임의 아들이다. 진천현감 등을 거쳐 다대포 첨사로 재직 중,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초기에 부산 다대포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을사사화에서 화를 입은, 윤임의 5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현풍곽씨(1517 ~ 1589)로 병마절도사 곽한(郭翰)의 딸이다. 훗날 아버지 윤임이 역적으로 몰려 죽을 때 나이가 5살에 불과하여 연좌를 면하였다.

윤여필은 할아버지이고, 그가 태어나기 한참 전에 사망한 중종의 제3계비 장경왕후는 그의 고모가 된다. 그에게는 위로 이복 형제 3명이 있었는데 맏형 윤흥인은 처형당하기 전, 아들 윤호가 중종과 경빈 박씨의 딸인 혜정옹주의 딸 홍옥환과 결혼하였다.

을사사화 당시 아버지 윤임이 역적으로 몰려 사형당하고 윤흥신의 형들도 연좌되어 죽게되나 윤흥신은 나이가 어려 친동생들 및 어린 서출 동생들과 같이 살아남아 노비로 전락한다.

선조가 집권후 을사사화의 누명이 풀려 윤흥신도 다시 신분을 회복하고 1582년, 진천현감이 되었으나, 오랜 노비 생활로 교육을 받지못해 문자를 해독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가, 1592년, 수군에 등용되어, 다대진을 수비하는 다대포 첨사가 되었다.

출처: 위키백과

윤공단 - 사하구, 부산광역시
hyun K.
4/5

훌륭한 조상의 업적을 기릴 수 있는 기회도 되니 145계단을 오르는 것을 운동이라고 생각하고 기회가 된다면 방문할 것을 추천함. 또한, 깨끗하게 단장되어 있으며 숲속과 같은 조용한 곳에 있어서 휴식을 하기에도 좋아요. 계단을 오르는 도중에 쉴 수 있도록 여러 곳에 나무의자가 설치되어 있어 힘들지 않아요

윤공단 - 사하구, 부산광역시
강진희
5/5

윤흥신 첨사의 순절비가 있고. 동생 윤흥제와 백성들의 정신을 기리는 곳. 작은 공원이예요

윤공단 - 사하구, 부산광역시
남영우
4/5

역사적 유적(선정비~)도 있고.산책하기
좋음.울창한 숲.조성이 잘되있음!
한창 벚꽃이 펴있음~좋아요~

윤공단 - 사하구, 부산광역시
박선미
4/5

근처를 걷다가 잠시 더위를 피하고 싶다면 들러보자ㆍ쉴수 있는 벤취와 시원한 바람이 위로가 되는 곳

윤공단 - 사하구, 부산광역시
[email protected]
5/5

임진왜란 때 다대성을 지킨 윤흥신첨사를 모신 곳입니다.
매 년 4월14일(음)제를 지냅니다.

Go up